맨위로가기

바티칸 언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티칸 언덕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기독교 역사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장소로,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고대 로마인들은 바티칸 언덕의 어원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을 제시했으며, 특히 '바티카누스'라는 단어를 로마 신화와 관련지어 해석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전차 경주 훈련장, 키벨레 여신을 위한 신전 등이 위치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교황청이 자리 잡으면서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848년에서 852년 사이에 레오닌 성벽이 확장되면서 로마의 시 경계 안에 포함되었으며, 1929년 라테란 조약 이후 바티칸 시국의 부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티칸 시국의 지리 - 이탈리아반도
    이탈리아반도는 마그라강에서 루비콘강, 토스카나-에밀리아 아펜니노산맥에 이르는 지역으로, 유럽 대륙 유일의 활화산인 베수비오 화산이 있으며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 산마리노로 나뉜다.
  • 바티칸 시국의 지리 - 바티칸 정원
    바티칸 정원은 바티칸 시국 내에 위치하며, 9세기부터 다양한 시설이 존재하고, 16세기 르네상스 양식으로 조경되었으며, 2014년부터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었다.
  • 로마의 언덕 - 핀초 언덕
    핀초 언덕은 로마 시내에 위치하며 고대 로마의 일곱 언덕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중세 시대 핀치 가문의 정착으로 이름이 유래되었고 현재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로마의 스카이라인을 조망할 수 있는 명소이자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 로마의 언덕 - 몬테 사크로
    몬테 사크로는 로마 북동쪽에 위치한 언덕으로, 아니에네 강과 테베레 강 합류 지점 인근에 있으며, 고대 로마 시대 평민들이 귀족과의 갈등으로 집단 이주하여 농성했던 역사적인 장소이자 현재는 로마 시의 한 구역이다.
바티칸 언덕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라틴어 이름Mons Vaticanus
이탈리아어 이름Colle Vaticano
리오네보르고
지리
위치바티칸 시국
건축물 및 장소
주요 건축물성 베드로 대성당
기타 건축물네로의 원형 경기장
역사 및 문화
관련 인물네로
성 베드로

2. 어원

바티칸(Vaticanus)이라는 이름은 에트루리아 정착지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로마인들이 '바티칸 영토'라고 부르던 지역에 'Vatica' 또는 'Vaticum'이라는 에트루리아 정착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기원전 5세기 중반 집정관 파스티에는 지명과 관련 없는 'Vaticanus'라는 개인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1]

2. 1. 고대 로마의 어원설

고대 로마인들은 라틴어 단어 ''Vaticanus''(바티칸)의 어원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1] 바론 (기원전 1세기)은 이 단어를 ''Deus Vaticanus''(바티카누스 신) 또는 ''바기타누스''(Vagitanus)와 연결시켰는데, 이 신은 로마 신으로, 아기의 첫 울음(''vagitus'', 첫 음절고전 라틴어[waː-]로 발음)을 통해 말하는 능력을 부여한다고 여겨졌다. 바론의 다소 복잡한 설명은 이 기능을 그 지역의 수호신과 예언자(''바테스'')가 가진 고도의 언어 능력과 관련시키며, 후기 고대 로마의 골동품 연구가인 아울루스 겔리우스에 의해 보존되었다.

아울루스 겔리우스가 인용한 바론의 글은 다음과 같다.

> 우리는 ''Vatican''(바티칸)이라는 단어가 언덕에 적용되며, 그곳에서 신의 힘과 영감으로 예언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곳을 관장하는 신에게 적용되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마르쿠스 바론은 그의 책 ''신성한 것들''에서 이 이름에 대한 또 다른 이유를 제시합니다. "아이우스"라고 그는 말합니다. "신은 신성하다고 불렸고, 새로운 길의 가장 낮은 부분에 그의 영광을 기리는 제단이 세워졌는데, 그 이유는 그곳에서 하늘의 목소리가 들렸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신은 ''바티카누스''라고 불렸는데, 그는 인간의 목소리의 원리를 주관했기 때문입니다. 아기들은 태어나자마자 ''바티카누스''의 첫 음절을 형성하는 소리를 내며, 따라서 'vagire'(울부짖다)라고 불리는데, 이 단어는 아기가 처음 내는 소리를 표현합니다."[2]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대 로마 신학에 대한 바론의 저작에 정통했으며,[3] 그의 저서 ''신국론''에서 이 신을 세 번 언급한다.[4]

''Vaticanus''는 실제로 에트루리아 정착지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더 높은데, 이는 로마인들이 "바티칸 영토"라고 불렀던 일반적인 지역에 위치한 ''Vatica'' 또는 ''Vaticum''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착지가 존재했다면 그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집정관 ''파스티''는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지명과 관련이 없는 개인 이름 ''Vaticanus''를 보존하고 있다.[1]

2. 2. 에트루리아 문명 기원설

고대 로마인들은 라틴어 단어 ''Vaticanus''(바티칸)의 어원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1] 바론 (기원전 1세기)은 이 단어를 ''Deus Vaticanus''(바티카누스 신) 또는 ''바기타누스''(Vagitanus)와 연결시켰는데, 이 신은 로마 신으로, 아기의 첫 울음(''vagitus'', 첫 음절고전 라틴어로 waː-|la로 발음)을 통해 말하는 능력을 부여한다고 여겨졌다. 바론의 다소 복잡한 설명은 이 기능을 그 지역의 수호신과 예언자(''바테스'')가 가진 고도의 언어 능력과 관련시키며, 후기 고대 로마의 골동품 연구가인 아울루스 겔리우스에 의해 보존되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대 로마 신학에 대한 바론의 저작에 정통했으며,[3] 그의 저서 ''신국론''에서 이 신을 세 번 언급한다.[4]

''Vaticanus''는 실제로 에트루리아 정착지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더 높은데, 이는 로마인들이 "바티칸 영토"라고 불렀던 일반적인 지역에 위치한 ''Vatica'' 또는 ''Vaticum''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착지가 존재했다면 그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집정관 ''파스티''는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지명과 관련이 없는 개인 이름 ''Vaticanus''를 보존하고 있다.[1]

3. 고대 로마 시대의 지형

바티카누스 몬스(Vaticanus Mons)는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 바티칸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기독교에서는 이곳에서 성 베드로가 순교하면서 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1] 4세기 초, 성 베드로의 무덤이 있다고 전해지는 묘지 위에 구 성 베드로 대성전이 건설되기 시작했다.[10] 이 무렵, 바티카누스 몬스는 현대적 의미로 정착되었고, 자니쿨룸 언덕은 야니쿨렌시스 몬스(Ianiculensis Mons)로 구별되었다. 2006년 10월 10일, 바티칸 박물관 개관 500주년을 기념하여 인근의 또 다른 묘지가 공개되었다.[11]

3. 1. 바티카누스 몬스와 바티카니 몬테스

''바티카누스 몬스''(또는 ''바티카누스 콜리스'')[5]는 고전 라틴어로 자니쿨룸 언덕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다.[6][1] 키케로는 복수형 ''바티카니 몬테스''를 현대의 바티칸 언덕, 몬테 마리오 언덕, 자니쿨룸 언덕을 포함하는 듯한 맥락에서 사용했다.[7][1]

''아게르 바티카누스'' 또는 ''캄푸스 바티카누스''는 원래 ''바티카누스 몬스''와 테베레 강 사이의 평평한 지역이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빈곤층이 자주 드나드는 불건전한 장소였다.[8] 칼리굴라네로는 이 지역을 전차 경주 훈련에 사용했으며, 가이아눔과 마찬가지로 도시 재개발은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또는 단순히 ''바티카눔''이라고도 알려진 네로의 원형 경기장 건설로 장려되었다.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근처의 무덤 위치는 몇몇 후기 자료에서 언급되었다.[1]

바티카눔은 또한 마그나 마테르 여신 키벨레의 사원인 ''프리지아눔''이 있던 곳이기도 했다. 이 신에 대한 주요 숭배가 팔라티노 언덕에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원은 고대 세계에서 매우 유명해져 갈리아의 리옹과 독일의 마인츠는 자체적인 마그나 마테르 단지를 "바티카눔"이라고 모방하여 불렀다.[9] 이 구조물의 잔해는 17세기에 성 베드로 광장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바티카누스 몬스''는 이 지역 전체를 "바티칸" ''(바티카눔)''이라고 부르면서 현대의 바티칸 언덕을 지칭하게 되었다. 기독교는 그곳에서 기독교 순교자인 성 베드로가 순교한 것을 계기로 이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1] 서기 4세기 초부터 구 성 베드로 대성전이 성 베드로의 무덤이 있는 전통적인 장소인 묘지 위에 건설되기 시작했다.[10] 이 무렵, ''바티카누스 몬스''라는 이름은 현대적 의미로 정착되었고, 자니쿨룸 언덕은 ''야니쿨렌시스 몬스''로 구별되었다.

2006년 10월 10일, 바티칸 박물관 개관 5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인근에 또 다른 묘지가 일반에 공개되었다.[11]

3. 2. 아게르 바티카누스와 캄푸스 바티카누스

''아게르 바티카누스'' 또는 ''캄푸스 바티카누스''는 원래 ''바티카누스 몬스''와 테베레 강 사이의 평평한 지역이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빈곤층이 자주 드나드는 불건전한 장소였다.[8] 칼리굴라네로는 이 지역을 전차 경주 훈련에 사용했으며, 가이아눔과 마찬가지로 도시 재개발은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또는 단순히 ''바티카눔''이라고도 알려진 네로의 원형 경기장 건설로 장려되었다.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근처의 무덤 위치는 몇몇 후기 자료에서 언급되었다.[1]

바티카눔은 또한 마그나 마테르 여신 키벨레의 사원인 ''프리지아눔''이 있던 곳이기도 했다. 이 신에 대한 주요 숭배가 팔라티노 언덕에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원은 고대 세계에서 매우 유명해져 갈리아의 리옹독일마인츠는 자체적인 마그나 마테르 단지를 "바티카눔"이라고 모방하여 불렀다.[9] 이 구조물의 잔해는 17세기에 성 베드로 광장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3. 3. 네로의 원형 경기장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칼리굴라네로는 이 지역을 전차 경주 훈련에 사용했으며, 가이아눔과 마찬가지로 도시 재개발은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또는 단순히 ''바티카눔''이라고도 알려진 네로의 원형 경기장 건설로 장려되었다.[1] ''키르쿠스 바티카누스'' 근처의 무덤 위치는 몇몇 후기 자료에서 언급되었다.[1]

3. 4. 프리기아눔 (키벨레 신전)

바티카눔은 마그나 마테르 여신 키벨레의 사원인 ''프리지아눔''이 있던 곳이기도 했다. 팔라티노 언덕에서 이 신에 대한 주요 숭배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원은 고대 세계에서 매우 유명해져 갈리아의 리옹과 독일의 마인츠는 자체적인 마그나 마테르 단지를 "바티카눔"이라고 모방하여 불렀다.[9] 이 구조물의 잔해는 17세기에 성 베드로 광장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4. 기독교 역사

교황 레오 4세는 848년부터 852년까지 레오닌 성벽을 확장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과 바티칸을 보호했다. 이로써 바티칸 언덕은 로마 시 경계 안에 포함되었으며, 1929년 라테란 조약 이전에는 보르고 리오네에 속했다.[1]

아비뇽 유수 (1305-1378) 이전 성좌 본부는 라테란 궁전에 있었다. 아비뇽 유수 이후 교회 행정은 바티칸 언덕으로 옮겨졌고, 교황 궁전은 1871년까지 퀴리날레 언덕의 퀴리날레 궁전이었다. 1929년 6월 이후 바티칸 언덕 일부는 바티칸 시국 부지가 되었다.

4. 1. 성 베드로의 순교와 성 베드로 대성전

교황 레오 4세는 848년부터 852년까지 도시 성벽을 확장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과 바티칸을 보호했다. 이로써 바티칸 언덕은 로마 시 경계 안에 포함되었으며, 1100년 이상 로마 성벽과 시 경계 안에 있었다. 1929년 라테란 조약 이전에는 보르고 리오네에 속했다.

아비뇽 유수 (1305-1378) 이전 성좌 본부는 라테란 궁전에 있었다. 아비뇽 유수 이후 교회 행정은 바티칸 언덕으로 옮겨졌고, 교황 궁전은 1871년까지 퀴리날레 언덕의 퀴리날레 궁전이었다. 1929년 6월 이후 바티칸 언덕 일부는 바티칸 시국 부지가 되었다. 그러나 로마 주교, 즉 교황의 대성당은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니라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이며, 이 대성전은 1929년 2월 이탈리아 국가와 성좌가 서명한 라테란 조약에 명시된 대로 치외 법권 지역에 속한다.

4. 2. 레오닌 성벽과 로마 시 경계

교황 레오 4세는 848년에서 852년 사이에 레오닌 성벽을 확장하여 성 베드로 대성당과 바티칸을 보호했는데, 이때 바티칸 언덕은 로마의 시 경계 안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바티칸 언덕은 1100년 이상 로마의 성벽과 시 경계 안에 있었다. 1929년 라테란 조약 이전에는 보르고 리오네에 속했다.

1929년 6월 이후 바티칸 언덕의 일부는 바티칸 시국의 부지이다. 그러나 로마 주교, 즉 교황의 대성당은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니라, 1929년 2월 이탈리아 국가와 성좌가 서명한 라테란 조약에 명시된 대로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이며, 이 대성전은 치외 법권 지역에 속한다.[1]

4. 3. 교황청의 이전과 바티칸 시국

아비뇽 유수 (1305-1378) 이전 성좌의 본부는 라테란 궁전이었다. 아비뇽 유수 이후 교회 행정은 바티칸 언덕으로 옮겨졌고 교황 궁전은 (1871년까지) 퀴리날레 언덕에 있는 퀴리날레 궁전이었다. 1929년 6월 이후 바티칸 언덕의 일부는 바티칸 시국의 부지이다. 그러나 로마 주교, 즉 교황의 대성당은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니라, 1929년 2월 이탈리아 국가와 성좌가 서명한 라테란 조약에 명시된 대로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이며, 이 대성전은 치외 법권 지역에 속한다.

5. 한국과의 관계

원문 소스와 요약이 모두 제공되지 않아, '한국과의 관계'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A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문서 Attic Nights
[3] 문서 Augustine Through the Ages: An Encyclopedia Wm. B. Eerdmans
[4] 문서 De civitate Dei
[5] 문서 Festus
[6] 문서 Carmen
[7] 문서 Letter to Atticus
[8] 문서 Historia
[9]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10] 서적 On Roman Time: The Codex Calendar of 354 and the Rhythms of Urban Life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뉴스 Ancient Roman treasures found under Vatican car park https://www.theguard[...] 2006-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